시장 PE가 사랑하는 진입장벽: 독점기업의 경제적해자 PE 일을 할 때, 개인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기준을 하나만 말하라 하면 "경제적 해자"입니다. 단언컨데 투자 대상 선정 기준에 있어 가장 중요한 판단 지표입니다.
시장 아직 펫산업은 시작도 안했습니다.(영어유치원 말고 강아지유치원) 반려동물 시장은 2023년 기준 4.5조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며 2027년에는 6조원 규모로 전망되는데요.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는 돈이 몰리고, PE는 그 중 예측 가능한 구조적 베팅을 하게 됩니다. 반려동물 산업에는 어떤 기회가 숨어 있을까요?
벤처 스타트업 성공의 Golden Ticket: CEO Staff_(feat.유비&제갈량) 유비는 곁에 뛰어난 책사인 제갈량을 둔 덕분에 많은 업적을 세웠는데요. CEO는 삼국지의 유비와 같이 수 많은 의사결정을 해야합니다. 요즘엔 CEO의 더 나은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Chief of Staff(CoS)라는 직무가 생겨났는데요. CoS는 어떻게 조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지 알아봅시다.
벤처 Fund of Funds(재간접 펀드) 우월전략 해킹하기 VC 투자의 장점은 투자한 스타트업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내면 그에 맞는 수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인데요. High risk high return이라는 말처럼 스타트업 투자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만큼 매우 높은 risk를 감당해야 합니다. 그럼 과연 VC - 스타트업 생태계에 투자하면서 risk는 줄이고 꾸준히 초과수익을 추구할 방법이 있을까요? Fund of Funds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장 PE의 투자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나요?(M&A 절차의 A to Z) PE는 투자 대상 회사를 어떻게 정하고 어떤 협상 및 실과 과정을 거쳐 기업을 인수하게 될까요? 짧게는 3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이상 소요되는 PE의 투자 검토 및 집행 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장 니들이 바이아웃을 알어?(feat.코스닥 괴물 에코프로비엠을 탄생 시킨 PE) 자본주의의 꽃이 주식시장이라면, PE 투자의 꽃은 Buy-out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경영권 인수 후 PMI를 통해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는 다양한 전략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시장 PE vs VC 대체 뭐가 다른가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사모펀드. 영어로는 Private Equity라고도 합니다. PE는 VC와 어떤 점이 다를까요? PE는 뭐하는 곳이고, PEF는 어떻게 운용되는지 같이 알아봅시다.
시장 상폐할 결심: 상폐..오히려 좋아?!(feat.오스템임플란트) 흔히 주식으로 깡통 찼다고 하면 상장폐지라는 단어가 연상됩니다. 그런데 최근 PE가 대주주 지분 인수 후, 공개매수를 통해 자진 상장폐지 Case가 자주 등장하고 있고. 이런 경우 호재로 인식되기도 하는데요. 한 번 알아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