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VC들의 실험인 EIR에서 차세대 유니콘이 나올까요? 초빙 기업가 (Entrepreneur In Residence) Shutter Hill Ventures라는 국내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투자사는 스노우플레이크라는 60조가 넘는 기업을 10년만에 만들었습니다. EIR 프로그램이 그 성과를 만들 수 있었던 토대인데 국내에서는 어떤 시도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관점 꿈이 작은 스타트업은 느릴 수 밖에 없습니다 큰 비전, 목표에 대해 외치는 스타트업들을 보면서 어색함을 느끼셨나요? 저는 논리적으로 우월한 전략을 피고 있는 회사들이라고 생각하게 되어서 그 내용을 풀어보았습니다.
동료 90년생 엔젤 투자자: EO 김태용 대표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90년대생들을 차례로 조명하려고 합니다. 첫주자로는 유튜버 EO로 더 잘 알려져있는 김태용 대표의 엔젤투자기를 다뤄봤습니다.
관점 국내 운용자산 Top 20 VC의 주주와 역사를 통해 예상해보는 독립계 벤처캐피탈의 약진 우리나라 벤처투자 산업만의 독특한(정부산업) 역학구도, 유교적인 문화 등이 얽혀 국내 벤처투자씬을 간단히 이해하기 어려운데 다른 패턴들과 현황에서 미래가 어떻게 될지 국내 Top 20 AUM을 형성한 VC들을 분석하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부출연기관 or 종합금융회사로 부터 시작하였지만 결국은 독립계 벤처캐피탈들이 득세할 세상이 올 것 같습니다.
시장 독점 스타트업 vs 신규 진입 스타트업: 승자를 찾고 싶어하는 투자자의 눈 1년만에 손익이 5000억원 좋아진 기업이 있습니다. 시장의 독점력을 이용한 엄청난 성과인데, 그 때문에 행복해진 대상들은 누구일까요? 고객? 파트너? 주주 입니다.
벤처 뒤늦게 메타버스에 투자한 심사역이 있다?! 메타버스를 싫어하던 투자자가 메타버스 스타트업에 투자하게 된 스토리입니다. 논리적으로 메타버스가 왜 시대의 흐름과 사람들의 선택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매개체인지를 이해하게 된 이야기
관점 실리콘밸리 은행(SVB)의 파산 : 난장판 중 벤처 자본의 역할 이번 사건을 한마디로 지금 정리하자면 뱅크런을 일으켰을지도 모르는 VC들의 섣부른 행동일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본인 포트폴리오들에게는 안정성을 더해줬으니 저는 이런 냉혹한 세상에서는 당연히 취해야 할 전략이라고 봅니다.
시장 OpenAI가 투자한 스타트업을 통해 살펴본 생성형 AI의 미래와 스타트업 확장 전략 OpenAI가 투자한 스타트업 분석을 통해 생성형 AI가 바꿔갈 미래를 엿보고, 그들의 세력 확장 전략을 알아보았습니다. 솔라나의 스테픈과 같은 대박 사례가 나올 GenAI 해커톤도 찾아보았습니다.
관점 두들린(그리팅)에 3번이나 투자한 사람이 있다?! VC들의 후속투자 전략과 낭만 두들린이라는 스타트업에 세번 연속 투자를 하면서 드는 생각들을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투자사들은 후속투자를 어떤 사유로 어떻게 쓰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은 미래가 기대되는 투자사를 featured 했습니다.
관점 VC들의 고민 : 미국과 한국의 출자자 서한(LP Letter) 비교 및 출자자관리 서비스 분석 벤처캐피탈을 비롯한 투자사(General Partner)들이 어떤 출자자 서한(Limited Partner Letter)를 어떤 목적으로 작성하고 어떤 정보를 어떤 맥락으로 전달하는지 궁금하여 조사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솔직한 투자사의 생각 공유와 시장 데이터 중심의 보고를 하였고, 국내는 행정적 편의를 위한 보고 구조가 어느정도 형성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시장 ChatGPT 활용 사례로 알아보는,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생태계 Generative AI가 만드는 새로운 영역은 여러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 chatGPT가 가장 큰 앞서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있어, 현재 구축되고 있는 생태계와 사례들을 모아보았습니다.
관점 채용 도와드리는 VC가 되고자 합니다. 벤처캐피탈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사 가치제안은 좋은 사람을 소개해 주는 행위인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국내, 해외에선 어떤 사례가 있고 저는 어떤 시도를 하려고 하는지 남기려고 합니다. 앞으로 만나는 스타트업에 좋은 가치를 더하실 모든 분들을 서로 더 잘만날 수 있는 중매쟁이가 되어보겠습니다.
시장 유료화와 프라이싱, 창업자의 영원한 숙제를 풀어보자 현재 MAU와 같은 트래픽(무료 유저)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며 시장의 공식이 바뀌는 시점입니다. 유료화에 왜 공을 들이는 것이 효율적인지, 어떤 방법이 있는지, 이것을 왜 저희가 다루는지 알려드립니다.
시장 2022년 연말정산 글을 써낸 외국 VC들, 한국 VC는 어디가 썼을까? 금융권은 연말에 모두 업무를 마감하면서 쉬는 한주가 있습니다. 그에 맞춰서 해외 VC들이 올해를 마무리, 내년을 조명하는 글을 쏟아내는데요.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관점 경기 침체에 각광 받는 대기업 CVC는 구원자일까요? 아니요. 대기업 CVC가 경기침체 국면에서 새로운 구원자로 평가받지만 장단이 있는 투자처입니다. 구조적 한계와 국내 경영환경이 한계를 만드는 이유다 보니 잘 고민해보시고 좋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시장 Generative AI 스타트업은 떡상할까?(투자자 관점) 미국 VC들 부터 시작해서 아마 2023년 스타트업 씬의 핫 키워드가 될 Generative AI가 왜 경기침체 시점에서도 각광받는지에 대한 분석기입니다.
관점 재앙이 될 스타트업을 피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미국 유명 VC가 올린 FTX와 같은 스타트업의 특징 10가지를 보면서 27년의 노하우를 습득해봅시다. 1개씩 보면 일반적일 수 있는 문젠데 문진표로 보니 마음에 더 와닿네요
관점 큰 투자사와 인기있는(낭만있는) 투자사의 차이 (feat. youtube 2005년 투심 보고서 분석) 벤처투자자는 돈은 잘되는 회사에서 벌지만, 평판은 안되는 회사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그만큼 철학과 방향성 있는 투자사들은 창업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데 현재 트렌드를 분석해 보았습니다.
관점 투자사는 어떻게 스타트업을 해부하나요? FTX는 0원 되었다던데.. 전 세계 탑 3안에 드는 VC 세콰이어 캐피탈의 Web 3 야심작 FTX가 0원이 되면서, 그들의 검증이 거의 없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그들의 투자 방식에 대한 방만한 운영이 화두에 올랐습니다.
시장 B2B를 믿는 사람이 보는 미래는? 급변하는 시장을 기회삼아 고객들을 설득하는 B2B SaaS 회사에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 generative AI를 활용한 SaaS 스타트업들에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 Low-code, No-code SaaS 기업에 기회가 있을텐데 한국 기업들에도 기회가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
시장 창업자가 투자자를 고르는 기준 9가지 창업자들이 생각하는 VC에게 바라는 요소와 VC가 생각하는 VC가 경쟁력 있기 위한 요소가 꽤 다릅니다. 섹터 전문성이 중요하고, 브랜드와 평판은 생각보다 중요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케미, 투자속도, 네트워크는 서로 생각한만큼 중요합니다.
시장 시간과 조건 사이 - 투자유치편 스타트업의 투자유치는 성공/실패의 문제가 아니라 팀의 시간,지분율과 투자금 총액을 두고 조율하는 과정입니다. 회사의 시간이라는 재화를 얼마에 구매하실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