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PE가 사랑하는 진입장벽: 독점기업의 경제적해자 PE 일을 할 때, 개인 투자를 할 때 가장 중요하게 판단하는 기준을 하나만 말하라 하면 "경제적 해자"입니다. 단언컨데 투자 대상 선정 기준에 있어 가장 중요한 판단 지표입니다.
시장 Chief of Staff(CEO staff) 6명을 인터뷰했습니다. 힘든 시련을 겪는 배트맨에게 옳은 조언을 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배트맨의 싸움을 지원하는 알프레드는 배트맨에게 꼭 필요한 조력자입니다. 배트맨처럼 묵묵하게 자신의 꿈을 이뤄가는 대표님들이 더 훌륭한 알프레드를 찾으실 수 있도록 전·현직 Chief of Staff(CEO staff) 6명을 인터뷰했습니다.
시장 아직 펫산업은 시작도 안했습니다.(영어유치원 말고 강아지유치원) 반려동물 시장은 2023년 기준 4.5조원 규모로 추정됩니다.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며 2027년에는 6조원 규모로 전망되는데요.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에는 돈이 몰리고, PE는 그 중 예측 가능한 구조적 베팅을 하게 됩니다. 반려동물 산업에는 어떤 기회가 숨어 있을까요?
시장 VC들의 실험인 EIR에서 차세대 유니콘이 나올까요? 초빙 기업가 (Entrepreneur In Residence) Shutter Hill Ventures라는 국내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투자사는 스노우플레이크라는 60조가 넘는 기업을 10년만에 만들었습니다. EIR 프로그램이 그 성과를 만들 수 있었던 토대인데 국내에서는 어떤 시도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벤처 Fund of Funds(재간접 펀드) 우월전략 해킹하기 VC 투자의 장점은 투자한 스타트업이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내면 그에 맞는 수익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인데요. High risk high return이라는 말처럼 스타트업 투자는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만큼 매우 높은 risk를 감당해야 합니다. 그럼 과연 VC - 스타트업 생태계에 투자하면서 risk는 줄이고 꾸준히 초과수익을 추구할 방법이 있을까요? Fund of Funds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장 YC W23 배치 Crypto / Web3 + Fintech 15개 스타트업 요약 Y-combinator의 W23 배치에 선정된 10개의 Crypto / Web3 스타트업과 5개의 Fintech 스타트업에 대해서 간단 요약했습니다.
시장 PE의 투자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나요?(M&A 절차의 A to Z) PE는 투자 대상 회사를 어떻게 정하고 어떤 협상 및 실과 과정을 거쳐 기업을 인수하게 될까요? 짧게는 3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이상 소요되는 PE의 투자 검토 및 집행 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시장 독점 스타트업 vs 신규 진입 스타트업: 승자를 찾고 싶어하는 투자자의 눈 1년만에 손익이 5000억원 좋아진 기업이 있습니다. 시장의 독점력을 이용한 엄청난 성과인데, 그 때문에 행복해진 대상들은 누구일까요? 고객? 파트너? 주주 입니다.
Members only 시장 2022 공시로 살펴보는 코인 거래소(토스와 빗썸의 시너지를 기대하며) 가상자산에 대한 인기와 함께 폭발적으로 성장해온 가상자산 거래소. 오늘은 2022년 사업보고서와 함께 업비트와 빗썸, 코인베이스 등 여러 거래소를 살펴보겠습니다.
시장 니들이 바이아웃을 알어?(feat.코스닥 괴물 에코프로비엠을 탄생 시킨 PE) 자본주의의 꽃이 주식시장이라면, PE 투자의 꽃은 Buy-out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경영권 인수 후 PMI를 통해 기업가치를 극대화 하는 다양한 전략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시장 PE vs VC 대체 뭐가 다른가요?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사모펀드. 영어로는 Private Equity라고도 합니다. PE는 VC와 어떤 점이 다를까요? PE는 뭐하는 곳이고, PEF는 어떻게 운용되는지 같이 알아봅시다.
시장 상폐할 결심: 상폐..오히려 좋아?!(feat.오스템임플란트) 흔히 주식으로 깡통 찼다고 하면 상장폐지라는 단어가 연상됩니다. 그런데 최근 PE가 대주주 지분 인수 후, 공개매수를 통해 자진 상장폐지 Case가 자주 등장하고 있고. 이런 경우 호재로 인식되기도 하는데요. 한 번 알아볼까요?
시장 OpenAI가 투자한 스타트업을 통해 살펴본 생성형 AI의 미래와 스타트업 확장 전략 OpenAI가 투자한 스타트업 분석을 통해 생성형 AI가 바꿔갈 미래를 엿보고, 그들의 세력 확장 전략을 알아보았습니다. 솔라나의 스테픈과 같은 대박 사례가 나올 GenAI 해커톤도 찾아보았습니다.
시장 VC가 브랜드 투자에서 멀어진 이유(feat. DTC의 이유 있는 추락) 코로나 직전 활황이었던 VC의 소비재 브랜드 투자는 점점 불이 꺼져 가는 듯 합니다. '리테일 혁신'의 첨병이었던 DTC 브랜드의 성장과 추락을 중심으로 그 이유를 알아봅니다.
Members only 시장 산업이 되어가는 비상장주식 투자, 유리한 사람은 누굴까?! 아직 정보의 비대칭이 남아있는 비상장주식 투자 시장. 사람들이 점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업계의 시선으로 비상장주식 개인 투자를 하는 사람들을 살펴보며 앞으로 바뀔 여지가 있는 부분을 조명해봤습니다.
시장 ChatGPT 활용 사례로 알아보는, 무궁무진한 가능성과 생태계 Generative AI가 만드는 새로운 영역은 여러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 chatGPT가 가장 큰 앞서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있어, 현재 구축되고 있는 생태계와 사례들을 모아보았습니다.
Members only 시장 알토스벤처스의 GFFG 투자가 불러올 F&B 지각 변동 노티드 도넛, 몽탄, 오복수산, 아트몬스터에 대해서 한 번 쯤은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들을 누가 창업했고, 알토스벤처스의 GFFG 투자로 어떤 지각 변동이 생길지 살펴봅시다.
시장 크리에이터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이 식고 있는 이유 크리에이터 산업은 매년 폭발적으로 성장합니다. 하지만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습니다. 무엇이 문제일까요?
시장 유료화와 프라이싱, 창업자의 영원한 숙제를 풀어보자 현재 MAU와 같은 트래픽(무료 유저)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며 시장의 공식이 바뀌는 시점입니다. 유료화에 왜 공을 들이는 것이 효율적인지, 어떤 방법이 있는지, 이것을 왜 저희가 다루는지 알려드립니다.
Members only 시장 진짜 맘스터치는 계모의 손길로 변했을까?(M&A 이후의 F&B) PEF에게 인기있는 F&B. 한국 F&B 시장은 모건스탠리PE도 실패하는 쉽지 않은 시장입니다. 여러 사례를 통해 M&A 이후의 F&B에 대해 살펴봅시다.
시장 2022년 연말정산 글을 써낸 외국 VC들, 한국 VC는 어디가 썼을까? 금융권은 연말에 모두 업무를 마감하면서 쉬는 한주가 있습니다. 그에 맞춰서 해외 VC들이 올해를 마무리, 내년을 조명하는 글을 쏟아내는데요.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시장 나이키가 폭리를 취하는 리셀러를 방관하는 이유 (feat. 나이키의 WEB3 ) 나이키는 이미 커뮤니티를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이 WEB3 생태계의 다크호스로 부상할 것이라 기대하는 이유죠.